“성적 자기결정권은 기독교 신앙과 양립할 수 없다”

  • 입력 2019.11.12 17:48
  • 기자명 임경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여성의 자기결정권과 태아의 생명권이 충돌하여 낙태의 합법화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떠오른지 오래다. 여기에다 청소년들의 성적 자기결정권마저 교과서를 통해 교수(敎授)되고 있어 기독교 윤리가 크게 위협받는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이와 같은 사회적 분위기에 경종을 울리고자 지난 11일 사랑의교회에서는 ‘생명문화VS반생명문화의 충돌’을 주제로 코람데오닷컴 포럼이 개최됐다.

이날 포럼에서 ‘낙태’와 관련된 학교 교육과 ‘성적 자기결정권’에 대해 발제한 최경화 대표(카도쉬아카데미)는 “현재 학교에서는 낙태와 생명에 대한 강의를 할 수 없는 실정이다. 아이들은 무엇이 옳고 그른지 분별할 수 있는 교육조차 받을 수 없다”면서 “스스로 책임질 수 없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교과서를 통해 ‘성적 자기결정권’을 가르치고 있다. 내가 만난 임신한 청소년들의 대다수는 가출을 선택하고, 의사들이 부르는 만큼의 금액을 구하고자 스스로 성매매를 찾고 있었다”고 심각성을 전했다.

좀 더 나아가 ‘자기 결정권’에 주목한 이상원 교수(총신대 조직신학)는 “자기결정권이라는 용어는 20세기 후반부터 임마누엘 칸트의 비판 철학, 즉 눈에 보이지 않는 세계와 하나님을 제외하고 눈에 보이는 인간의 판단, 경험만 갖고 모든 문제를 해결하자는 철학에 영향을 받았다”며 “성적 자기결정권이라는 용어는 ‘내 것’일 수 없는 것을 ‘내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 용어는 기독교 신앙과 조화를 이룰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수정된 순간부터 인간의 생명이 시작된다는 점은 생명윤리문제를 논의할 때 항상 상기해야 하고 반복해서 강조해야 한다. 이 지점에서 모든 논의가 출발해야 한다”면서 “기독교인은 법안이 어떻든 수정 이후의 어떤 낙태도 행하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낙태가 여성의 행복을 담보해 주는 것인가에 대해서도 재고가 필요하다”며 “낙태수술은 살아있는 태아를 인위적으로 죽이는 살인행위이다. 자궁에 매우 위험한 수술이며 크고 작은 후유증을 피해갈 수 없다. 낙태했다는 사실은 죽는 날까지 그림자처럼 따라다니며 갈등의 원인, 정신적인 문제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명진 소장(성산생명윤리연구소)은 한국교회의 신학적 입장이 바로 서야 한다고 피력했다.

이 소장은 “미국에서 낙태가 허용될 당시 자유주의신학에 물든 신학자들과 목회자들에 의해 정치인들과 법관들이 낙태 허용에 유화적인 입장을 취하게 됐다”면서 “신학이 바로 서야 신앙인이 바로 선다”고 강조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