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신교인 대다수 “공공의 이익이 우선, 개인의 자유도 포기 못 해”

  • 입력 2020.10.21 08:10
  • 기자명 임경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0.jpg

한국교회 성도들은 공공의 이익을 우선시하고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개인의 권리와 자유 또한 못지않게 높이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이 주최한 ‘2020 주요 현안에 대한 개신교인 인식조사 결과 발표’와 관련해 ‘코로나19를 거치면서 드러난 한국개신교의 시민성’ 보고서가 시사점을 던지고 있다.

코로나 상황에서 국민의 안전은 고려하지 않은 채 자신들의 신앙만을 우선시하여 이웃의 건강을 위협하는 이기적인 집단이라는 왜곡된 시선과 정면으로 대치되는 결과가 도출됐다.

전국 19세 이상 개신교인 1000명을 대상으로 7월21~29일 진행된 설문조사를 토대로 크리스챤아카데미 이상철 원장(한신대 기독교윤리)은 “한국 개신교인은 공공의 이익을 우선시하고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그렇다고 개인의 권리와 자유를 소홀하게 취급하지도 않는 시민성을 지니고 있었다. 그리고 그들은 사회적, 개인적 위기가 발생할 시 개인윤리의 차원에서 문제를 해결하려는 성향을 보였다”고 결론내렸다.

한국 개신교인들은 ‘사회의 이익이 개인의 이익보다 우선해야 한다’는 질문에 64.3%가 동의했다. 또한 개인의 이익과 공동체의 이익이 충돌했을 때에도 57.4%가 ‘집단에 손해가 가지 않는 범위에서 나의 이익을 추구한다’고 응답해 집단에 피해를 주지 않는다는 전제가 따라왔다. 다음으로는 ‘나에게 손해가 가지 않는 범위 안에서 집단 이익 추구’(27.9%)였다. 극단적으로 ‘나에게 다소 손해가 있더라도 집단의 이익을 추구한다’는 응답은 12.6%였고, ‘집단에 손해가 있더라도 나의 이익을 추구한다’는 응답은 2.1%로 매우 소수였다.

이처럼 개신교인들은 개인의 이익보다 집단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뚜렸했으며, 개인과 공동체에 최소한 손해를 끼치고 싶지 않다는 비율은 85.3%로 매우 높았다.

이어진 마스크 미착용자 처벌에 대한 의견에서 58.9%가 찬성, 26.6%가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 처벌을 반대하는 이들은 마스크를 쓰지 않는 것도 ‘개인의 선택’이라고 존중한다는 것.

이에 이 원장은 종합적으로 “개신교인들은 가족과 공동체에 피해를 입힐까봐 걱정하고, 방역지침을 잘 이행한다. 집단의 건강을 위한 정부의 대처에 대해서도 공동체의 안녕을 위해 기꺼이 개인의 불편을 감수하고 희생하려는 측면이 한국의 개신교인들에게는 존재한다”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에 반하는 행동에 대해 공권력을 투입해 바로 잡아야 한다는 주장에는 40%가 선뜻 동의하지 않는다. 그들은 공동체성을 중시하는 시민인 동시에 개인의 자유에 대한 가치도 존중하는 시민인 셈”이라고 평가했다.

00.jpg

그런가 하면 개신교인들의 정치적 성향 비율을 물은 이번 조사에서 개신교인의 39.8%는 스스로를 ‘중도’라고 표현했다. ‘진보’라고 지목한 비율은 31.4%였고, ‘보수’라고 응답한 비율은 28.8%에 불과했다. 이는 신앙의 정도가 깊어질수록 보수적 성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문층은 ‘보수’라고 답한 사람이 21.6%였으나, 친밀층은 31.3%, 중심층은 36.0%로 점차 증가하는 그래프를 보였다. 성별에 따라서는 남성이 32.6%로, 25.8%에 그친 여성보다 보수적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더 높았다.

연령대별로 볼 때 40대의 경우에는 진보성향이 40.4%, 보수성향이 21.5%인데 반해 60대 이상에서는 보수가 43.0%, 진보가 21.3%로 나타나 완벽한 역전 현상이 두드러졌다.

흥미로운 것은 20대의 비율이다. 중도라고 응답한 비율이 49.1%로 가장 높았으나, 진보가 28.6%에 이어 보수 응답도 22.3%로 예상을 깨고 높게 나타났다. 2019년 20대의 보수 비율이 12.7%였던 것과 비교하면 거의 두 배 가까이 증가한 것.

이에 대해 이 원장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실물경제의 침체와 그에 따른 취업과 알바시장의 붕괴가 청년들에게 피부로 다가왔을 것이고, 정부의 잇단 부동산 정책은 오르는 집값을 잡기는커녕 더욱 부추기는 현상을 불러왔다. 청년들에게 내 집 마련의 꿈은 요원한 세상이 되었다는 것에 대한 실망감이 보수로 회귀하는 계기가 되었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조국과 추미애 장관의 경우에서 보듯이 부모찬스를 통한 특혜는 청년들에게 공정에 대한 불신을 부추기면서 현실에 대한 인식에 있어 부정적 인식의 계기를 선사했다. 이런 요소들이 모두 결합되어 청년 일반의 보수화를 추동시키고 있는 것”이라면서 보다 면밀한 연구의 필요성을 피력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